반응형

인공지능 74

소셜 빅데이터 마이닝 개념과 분석 유형

1. 소셜 빅데이터 마이닝의 개념 빅데이터(big data) 기존 데이터에 비해 규모(Volume), 속도(Velocity), 다양성(Variety) 등이 우위에 있다고 평가되는 데이터 소셜 빅데이터(social big data) - 소셜 미디어 공간에서 생산되는 대용량 데이터 - 빅데이터의 특징 요소에 더해 소셜 미디어를 통해 생산되는 정보 특성이 강조된 개념 - 이용자 참여가 강조된 인게이지먼트(engagement) 수치가 대용량 데이터로 생산된다는 특징이 있음. 데이터 마이닝 (data mining) - 수많은 데이터 중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해 내는 분석과정을 의미한다. - 숫자 데이터같이 구조화된 데이터를 분석해 낸다는 특징이 있다. - 체계화되지 않은 정보 중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트..

관계형 데이터 모델의 기초

데이터 모델이란? 데이터 모델은 구조(S), 연산(O), 제약조건(C)로 이루어져 있음 1. 구조 : 데이터의 구조 - 정적 성질, 객체 타입과 이들간의 관계를 명세함 2. 연산 : 데이터의 동적 성질 - 객체 인스턴스를 처리하는 작업에 대한 명세 - 데이터 조작 기법 3. 제약조건 : 데이터의 논리적인 제약 - 구조로부터 파생 의미적 제약 - 데이터 조작의 한계를 표현하는 규정 예) 정수 구조 : -2.-1,0,1,2... 연산 : 사칙연산 제약조건 :정수의 제한 2.5는 정수가 아님 관계형 데이터 모델을 사용하는 이유 - 모델의 구조가 단순함 - 집합 이론이라는 수학족 이론에 기반하여 모델이 강건함 - SQL이라는 간단한 비절차적 언어로 사용하기 쉬움 관계형 데이터 모델 - 구조 : 릴레이션 (또는 ..

데이터베이스의 기초

데이터 베이스의 정의 어느 한 조직의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데이터들을 통합하여 저장한 운영 데이터의 집합 사람들이 필요한 데이터를 모아둔것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관리할수있도록 만든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라고 함 데이터베이스 = DBMS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데이터 베이스 정의에 함축된 개념 1. 공용데이터 - 한 조직의 여러 응용프로그램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것 - 여러 사용자가 서로 다른 목적으로 공유함 2. 통합된 데이터 - 여러 부서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를 한 곳에 모아서 공동 관리하는 것 - 최소한의 중복, 통제된 중복 예) 학생처와 교무처에서 사용하는 학생 정보가 유사하지만 조금 다를 것임. 공통부분을 통합시켜서 학생의 정보를 학생처와 교무처가 같이 보..

AI 튜토리얼 1 :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이란 무엇일까? 인공지능은 '강아지 사진을 보면 이것이 강이지다.', '고양이 사진을 보면 이것이 고양이다.' 같은 문제(image classification)를 기존의 알고리즘에 비해 굉장히 잘풀어낸다. 문제를 단순화해보면 입력을 주어지면 출력을 내보낸다. 즉, 인공지능란 입력이 주어지면 출력을 내보내는 시스템으로 생각하면 된다. 이러한 입출력 시스템은 우리가 배웠던 '함수'를 떠올리게 된다. 그럼 그냥 입출력 시스템인 인공지능이 왜 무서운걸까? 우리는 원의 넓이를 구하는 함수를 알면 원의 넓이를 구할 수 있다. 개발자는 원의 넓이를 구하는 함수로 원의 넓이를 구하는 시스템도 만들 수 있다. 단, 개발자가 지정해주는 일(원의 넓이 구하기)만 할 수 있는 안무서운 시스템이 만들어진다. 여기에 도형..

인공지능 2019.12.18
반응형